Blog Season 3/ㄴ 주식 투자

가치투자든 추세추종이든 국장에서 좋은 주식 찾는 조건

Joey 2025. 3. 9. 20:57
반응형

여러번 듣고 읽던 내용인데, 너무나도 잘 정리해 준 글을 찾았다.

예전 네이버 카페나 한정된 블로그를 통해 투자 정보를 모으던 시절에 비해 요즘 텔레그램을 중심으로 정보가 유통되는 환경에서는, 좋은 글을 접해도 진지하게 읽고 깊이있게 생각하며 정보를 내 것으로 습득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쳐가게되는 경우가 훨씬 많아진 것 같다.

유통되는 정보가 너무 많다보니, 집중도가 떨어지고, 특정 글과 정보들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보면 읽을거리로 쌓이는 정보들이 점점 늘어나 뒤쳐진다고 느껴 다시 스쳐지나가는 방식으로 돌아가게된다. 

이런 정보 습득 방식을 최대한 지양하고자, 정보량이 많이 스쳐지나가게 되더라도 중요한 정보는 깊이있게 생각하며 천천히 읽기, 어떤 방식으로는 기록을 남겨두기 등을 시도해 보고 있다.

이 글도 과거에 수차례 여러 방식으로 스쳐 지나간 적이 있는 글이다. 접한 당시 무척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지만 이 아이디어를 가지고 트레이딩 대상 종목군을 찾는다거나 산업/종목 리포트와 정보를 접했을 때 이런 관점으로 정보를 선별하려는 노력까지 이어지지 못했었다.

결국 이렇게 포스팅을 남겨보는 것도, 다시 깊이있는 생각 시스템으로 돌아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쓸데없는 말이 길어졌는데, 이 글을 쓰려던 본래 목적으로 돌아가서,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 가치투자이든 추세추종 트레이딩이던 중장기적으로 성장의 가능성을 가진 좋은 종목 Pool을 구축할 때 적용하기에 정말 유용한 조건들을 정리해 본다(원 글은 아래 링크를 남겨두었음)

 

1. 해외 확장성

국내에서 독보적이면서 해외 확장성을 갖출 것

국내 매출로 하방을 방어하고 해외 확장성으로 업사이드를 열어갈 수 있어야 함.

그리고 해외 확장의 초입에 있을 것

 

2. 중국과 경쟁하지 않아야 함.

성장성, 수익성이 보이더라도, 돈과 인건비로 승부하는 산업은 중국의 시장 교란으로 경쟁력을 잃기 쉽다.

 

3. 영업이익률과 ROE가 높아야 함

경쟁력, 밸류체인 내에서의 지위 우월성을 숫자로 증명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4. 타겟 시장이 크고 성장할 수 있어야 함

- 영원히 고성장하는 산업, 기업은 없다.

- 시장의 규모 자체가 커야된다.

- 미국, 유럽, 일본에서 잘 되어야 한다.

 

5. 실제로 돈을 벌고 있어야 한다

- 내러티브만으로는 쉽게 허물어진다

 

3., 5.는 원 글을 쓴 분의 관점 처럼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포인트임에는 분명하다. 그런데 나처럼 추세추종을 지항햐는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내러티브만으로 만들어내는 추세도 수익 창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1., 2., 4,의 조건만으로도 주가는 이미 상당한 수준의 상승을 보일 수 있고, 3과 5로 검증이 되는 단계에서는 과거 이익 기반 PER 등 지표로는 투자하기 겁나고, 미래 이익 기반 PER로 접근하기에는 불확실성과 실적 Peak Out에 대한 두려움과 맞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투자가 어렵다(그렇다고 추세추종 트레이딩이 쉽다는 건 아니고.....)

 

물론, 이러한 방법이 좋은 종목, 주식을 선별하는 유일한 수단일리는 없다. 하지만 매우 유용한 수단임에는 틀림없고, 수백, 수천개의 종목, 수십개의 산업과 테마 속에서 투자 대상을 골라야 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좋은 방법론 두어가지에 집중하는게 훨씬 효율적이다.

K 특산품이라는 거대 테마, 주도 섹터로 충분히 상승해서 당분간은 유용성이 떨어진 방법론일 수도 있겠다.

다른 유용한 아이디어는 또 뭐가 있고 다음 주도 섹터는 어디에서 찾아야 하려나......

 

https://blog.naver.com/luy1978/223787736444

 

K특산품 근황

작년에 모두들 미국으로 떠날 때, 미국주식 같은 한국 기업들을 찾았으면 어땠을까? 삼양식품 대략 70% 이...

blog.naver.com

 

 

반응형